본문 바로가기
영화&드라마 리뷰

넷플릭스 기생수 더 그레이 원작과의 차이점

by 디투스토리 2025. 2. 12.
728x90
반응형

기생수 더 그레이 원작과의 차이점

 

넷플릭스 기생수 더 그레이는 이와아키 히토시의 만화 《기생수》를 본편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로, 한국 배경의 스핀오프작이다. 원작의 주인공 이즈미 신이치는 남고생이며 오른손에 오른쪽이가 기생했던 것에 비해 본작의 주인공인 정수인은 여성이고 성인이며 기생생물인 하이디가 우측 얼굴에 기생하고 있다. 이즈미 신이치랑은 완전 기생에 실패한 이유도 다르다.

원작에서는 한밤중에 오른쪽이가 기생하려다가 잠자던 신이치가 깨면서 저항하여 오른팔을 타고 올라오던걸 끼고 있던 이어폰 끈으로 묶어서 오른 팔에 고정된 탓에 오른 팔에만 기생하게 되어 실패한 반면, 본작에서는 이미 교통사고에 칼에 찔려 죽어가고 있었던지라 무사히 기생하기 위해서 상처를 치료하던 중 장악할 시간을 놓친 탓에 오른쪽 얼굴에만 기생되었단 설정이다. 숙주의 생존을 보장하고자 기생생물 스스로의 장악 시기를 놓쳤다는 점은 원작의 우다 마모루와 죠의 관계와 유사하다.

 

반응형
 

하이디가 우측 얼굴에 기생하고 있다는 설정에 많은 사람들이 의구심을 품고 있다. 원작에서 신이치가 기생당한 부위는 오른팔 전체에 지나지 않았으며, 나머지 신체는 여전히 인간의 것이기에 오른쪽이가 함부로 컨트롤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에 비해 우측 얼굴 전체가 기생이 완료되었다면 이미 뇌 절반이 기생수로 대체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원작에서 오른쪽이는 불완전한 기생상태에서도 인간의 언어가 가능하여 이즈미 신이치와 서로 동등한 입장에서 대화를 하지만 정수인과 기생생물 하이디는 내면에서만 서로 소통이 가능하다.

728x90

기생생물의 지적수준이나 사회성이 원작에서는 집단을 이루더라도 절대 협동하지않고 단독으로만 움직였지만 이번작에선 더빨리 집단을 이루고 협동하는등 사회성이 올라갔다. 기생생물들의 신체 스팩과 사회성을 제외한 지능이 원작에 비해 엄청나게 너프 되었는데 원작에서는 기생생물의 공격속도가 인간의 눈으로는 감히 범접 불가능한 수준으로 빠르고 머리부분 자체는 뇌,촉수,눈,입등 모든 기관의 역할을 다할 수 있어 굳이 인간의 얼굴로 위장하지 않아도 멀쩡하게 말을 할 수 있으며 눈이 안보이게 머리를 변형시켜도 모든 시야를 자유롭게 볼수있었다.

 

또한 기생부위를 제외한 인간부분의 동체도 정신적 리미트가 풀린탓에 팔이 부러지더라도 벽을 부수는 등의 여러행동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작에서는 기생생물의 공격 속도가 잘 단련된 인간이 보고 피할 수 있을 정도로 느려졌고 인간도 공격 한방에 못죽이며 호전성이 높아지고 지능 또한 굉장히 낮아졌다. 맨처음에 등장한 기생생물은 굳이 배가 고프지 않음에도 인간을 마구 죽이는등 불필요한 행동을 하다가 사살되었고 인간에 대한 공격성이 높아졌다.

원작에서 기생생물들은 정체를 들키거나 배가 고플때만 살인을 하였으며 본인의 생존이 최우선이기에 시마다 히데오처럼 황산을 뒤짚어써 판단력을 상실하거나 고토같이 특별한 목적을 가지지 않는이상 이유없이 공개적인 장소에서 인간을 많이 죽이지않는다.

 

하지만 본작의 기생생물들은 인간만 보이면 죽이는 등 원작에 비해 살육기계 같은 모습이 강조되었다. 또한 인간 부분의 리미트 해제도 반영되지 않았는지 최준경의 남편에게 기생한 기생생물은 구속장치를 풀어내지 못하고 인간에게 살해당하는등 약한 모습을 보였으며 낮아진 스피드와 지능을 반영하듯 바로 죽일수있는 인간을 앞에 놔두고 자기들 끼리 잡담을 하다가 죽이는 기회를 놓히거나 머리를 변형해서 주위를 살피느라 바로앞에있는 인간을 못보는등 원작에 비해 다소 허술해보이는 장면들이 늘어났다.

원작에서는 머리를 변형하면 통솔하느라 몸을 움직이지 못했지만 여기서는 머리를 변형한 와중에도 몸을 자유롭게 움직인다 집회에서 다른 기생생물들에게 연설을 하는 인물은 자신들이 인간에게 기생하여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라고 하면서 다른 기생생물들에게 경어까지 쓰고 있는데, 원작에서는 타미야 료코나 오른쪽이 말고는 이만큼 지성적인 모습을 보여준 기생 생물이 없었다.

원작에서는 인간을 유인하기 위해 연예인의 얼굴로 변경한 뒤 식사 후에 본래 외모로 되돌리는 묘사가 나오는데 드라마에서는 죽거나 숙주를 옮기는 경우를 제외하고 얼굴을 바꾸는 모습이 나오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본래 숙주를 버리고 다른 인간의 몸으로 갈아타는 것을 꺼리는 모습을 보이나드라마판의 기생생물은 자신이 원한다면 유동적으로 숙주를 옮겨다니며 이에 대한 리스크도 묘사되지 않는다. 사회성과 더불어 원작의 기생생물보다 이번작의 기생생물이 뛰어난 유일한 점이다.

https://youtu.be/yd1PJ_asJSM

 

 

#기생수 #기생수더그레이원작과의차이점 #기생수더그레이시즌2 #기생수더그레이달라진점 #넷플릭스기생수 #기생수연상호설정 #기생수원작과설정차이 #기생수만화원작차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