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드라마 리뷰

넷플릭스 데블스 플랜 비하인드 스토리

by 디투스토리 2025. 2. 10.
728x90
반응형

데블스 플랜 비하인드 스토리

 

데블스 플랜은 넷플릭스의 예능 프로그램으로 더 지니어스, 소사이어티 게임, 대탈출, 여고추리반을 제작한 정종연 PD가 CJ E&M를 퇴사하고 김태호 PD가 설립한 콘텐츠 제작사 TEO로 이적 이후 처음 제작하는 프로그램이다. 정종연 작품 중 더 지니어스와 가장 유사하여 사실상 더 지니어스의 정신적 후속작 대우를 받고있다.

데블스 플랜은 총 12명의 참가 플레이어가 6박 7일동안 진행하는 특별한 게임이다. 피스를 가장 많이 보유한 플레이어 2명이 최종 결승전에 진출하며, 결승전에서 승리한 플레이어가 최종 우승자가 된다. 피스는 데블스 플랜의 게임 화폐로 가운데 홈이 파인 금색 사각형 칩이다. 게임 진행 중 피스를 전부 상실한 플레이어는 그 즉시 탈락한다. 단 피스의 양도는 생활동 생활시간에서만 가능하다.

728x90
 

더 지니어스 시리즈 당시 받았던 비판점들을 의식한 듯, 해당 비판점들을 본작에서는 해소하려고 노력한 시도들이 눈에 띈다. 더 지니어스는 이준석, 강용석 등 정치 성향이 크게 드러나는 캐스팅으로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있기도 했고 강용석, 장동민, 이상민 등은 캐스팅 당시에 이미 논란이 있었던 인물이라 잡음이 있었다. 그러나 데블스 플랜에서는 큰 논란거리가 없는 사람들로만 캐스팅 되면서 전반적으로 누구나 불편함 없이 보기 편안한 구성이 되었다.

반응형

지니어스 시리즈는 갖은 스포일러 유출로 곤혹을 앓았었다. 그 때문인지 본작에서는 외부인 출입을 철저히 막았고 합숙을 하기 전, 휴대폰을 비롯한 모든 통신기기 사용을 금지했다. 뿐만 아니라 퇴장 후에도 스포일러를 유출하면 억원대에 달하는 위약금을 물어야 하는 비밀유지계약까지 하면서 철저히 막았다. 그래서인지 스포일러 유출이 출연자 중 곽튜브가 있다는게 먼저 유출된 정도로 그쳤다.

지니어스는 시즌2때 연예인 연합이 일반인 출연자들을 왕따 시키며 계속해서 유리한 위치를 점해서 공정성에 문제가 야기되었고, 여기에 결정적으로 연예인 연합의 은지원과 조유영이 일반인 참가자 이두희의 신분증을 훔쳐 게임에 아예 참가하지 못하게 만드는 반칙에 가까운 플레이를 제작진이 방관하며 큰 비판을 받았다. 다만 게임 특성상 특정 플레이어들 끼리 연합을 이루는 것은 오히려 의도된 그림이다.

그러나, 지니어스 시즌2의 연예인 연합은 이미 사전에 친분이 있었던 사람들이 있었고, 연합이나 약속등이 방송 밖에서 사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과정을 카메라에 담을 수 없기 때문에 그 개연성을 시청자들에게 납득 시킬 수 없었던 것이 문제였다. 따라서 데블스 플랜은 대부분 초면인 사람들로 캐스팅했으며 서로 누가 캐스팅 되었는지도 촬영 당일까지 알려주지 않았다.

 

또한 합숙을 통해 개인적인 대화를 통한 연합이나 약속도 빠짐없이 카메라에 담음으로써 시청자들에게 연합에 대한 개연성을 충분히 확보시킬 수 있었다. 또한 지니어스 시즌2 때의 신분증 도난 사건을 의식한 듯 본작에서 '폭력이나 절도를 저지르지 않는 한' 이라고 명백히 언급된다.

지니어스는 프로그램 포맷이 태생적으로 라이어 게임 표절 논란으로 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그러나 데블스 플랜은 더 지니어스의 전체적인 컨셉은 계승했을지언정 라이어 게임과의 유사점을 일부 수정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라이어 게임에 대한 기시감을 많이 줄였다. 라이어 게임과 유사했던 일부 장면 연출은 모두 삭제되었고 세트장 구조도 라이어 게임과 유사하지 않게 변함이 이루어졌다.

가넷을 계승한 피스도 라이어 게임과 달리 더 이상 빨간색 보석이 아니며 상금으로 교환 방식이 아닌 전혀 다른 역할을 하게 바뀌었다. 또한 감옥의 존재나 단체 협동 게임인 '상금매치'의 존재등을 통해 라이어 게임과의 차별화를 이루어냈으며, 좀비 게임의 사례 처럼 게임 자체에 대한 표절 논란도 일어나지 않았다.

 

물론 여전히 목소리 변조와 가면을 쓰고 TV를 통해 나와 룰을 설명하는 남성 딜러, TV 화면 속 캐릭터와 모션 그래픽을 통한 게임 룰 설명 및 결과 발표 등 라이어 게임에서 영향을 받았던 흔적은 여전히 일부 존재하긴 하나, 물론 라이어 게임(2007)이 이러한 연출을 두뇌 게임 장르에 접목한 최초의 작품이었다 한들 현재에 와선 이미 여러 두뇌 게임 장르의 흔한 클리셰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사성만 남아있는 정도이다.

https://youtu.be/XPllYfyjWeQ

 

 

#데블스플랜 #더지니어스 #데블스플랜비하인드스토리 #넷플릭스데블스플랜 #데블스플랜스포 #데블스플랜뒷이야기 #서바이벌게임 #라이어게임표절

728x90
반응형